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학예사 자격 준비하려는데, 학점은행제 vs 사이버대 중 뭐가 나을까요? (준학예사 과정 포 안녕하세요.저는 전문대 졸업(130학점 보유) 후 현재 박물관 리셉션으로 근무 중이며,2년

안녕하세요.저는 전문대 졸업(130학점 보유) 후 현재 박물관 리셉션으로 근무 중이며,2년 안에 학예사 자격증 취득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검색을 해보니 내용이 너무 복잡해서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1️⃣ 필수 5과목(박물관학개론, 전시기획론, 박물관자료관리론, 박물관경영론, 문화재관리론) 은시험 과목이 아니라 실제로 대학이나 교육기관에서 “수강해야 하는 과목”이라고 들었는데,이게 맞는지 궁금합니다.2️⃣ 학점은행제에서는 이런 필수과목이 개설이 거의 없다고 하고,사이버대학교(방송통신대 등)에서는 일부 수강 가능하다고 하는데현실적으로 어떤 루트가 더 빠르고 효율적인지도 알고 싶습니다.3️⃣ 준학예사 → 학예사 순서도 헷갈립니다.준학예사를 따고 나서 실무경력을 쌓아야학예사 시험 응시자격이 생기는 건가요?아니면 4년제 학위 + 필수 5과목 + 실무경력으로바로 학예사 자격을 신청할 수도 있나요?현재 상황 기준에서가장 빠르고 확실하게 학예사가 되는 루트를 알고 싶습니다.(박물관 리셉션 근무 경력이 인정되는지도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뭔 어디서 뚱딴지 같은거를 들고 오셨는지 모르겠는데,
관련 과목 뭐 들어야 한다 이런 기준 전혀 없습니다.
1번 부터 틀렸구요. 준학예사는 응시자격이 없이 누구나 볼 수 있는 시험으로,
합격 후 1년 경력을 쌓으면 준학예사 자격증이 나옵니다.
그러니 지금 일하는 기간이 아니라, 준학예사 합격 후 경력을 보는거고,
님 지금 전문대졸자 라고 하셨는데,
이 경우에는 준학예사 시험 합격 하고 3년 경력을 쌓아야 합니다.
그래서 다들 학점은행제로 빠르게 학사 학위를 만들고 나서, 준학예사를 보는거에요.
3년이 아닌 1년만 경력을 쌓으면 되니까요. 이때 전공은 아무거나 따도 무관 하구요.
그리고 준학예사가 아닌 1 ~ 3급 정학예사 자격증의 경우에는,
준학예사 취득 후 7년 경력을 쌓거나 아니면 관련 석사학위 취득 후 2년 경력 or 박사 취득 후 1년 경력을 쌓아야 나옵니다.
석박사 학위가 있으면 준학예사 건너뛰고 바로 경력인정대상기관에서 실무를 하고 학예사를 받을 수 있는 거죠.
그러니 지금 님은 어떤 방법을 사용하던 학예사 자격증은 2년 안에는 못 받습니다만.
가장 빨리 받으려면 학점은행제로 학사 만들어 관련 석사 대학원 진학 후 석사학위 만들고 2년 경력을 쌓아서 학예사 3급 받는
이 루트가 현재 선생님께는 가장 빠른 방법이겠네요.
대학원 안간다고 하면 정학예사 까지는 10년 걸립니다.
전문학사 + 준학 합격후 3년 경력 + 준학 나오고 7년 경력 = 3급 정학예사
이 순서니까요.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