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i
>> 글 이어보기 <<
토니모리 백젤 아이라이너... 토니모리 백젤 아이라이너 브러쉬를 꼭 내장된 걸로만 사용해야하나요 다이소 핑크팝브러쉬로
항고 진행과정에 대한 최근 무죄뜬 재판을 검사님이 항소하셔서 검사상소 / 2025.02.XX 상소법원으로 송부
포드 익스플로러/펠리세이드/카니발 장단점 안녕하세요차량 구매 고민중인 40대 가장 입니다4인 가족이고 캠핑을 즐기는편입니다이번에 차량을
일본 부동산 상속 외가 쪽 할아버지께서 일본 오사카에 집이 한 채 있으셨는데 유언장
수수료 무료인 주식 어플 좀.. 한투 쓰고 있는데요 첨엔 무료였는데 지금은 이체 수수료 500원씩 받더라구요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인터넷 면세점에서 시계 구입 신라면세점에서 사진의 시계를 구입하고 1. 인천공항에서 시계 받은 후에 공항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인터넷 면세점에서 시계 구입 신라면세점에서 사진의 시계를 구입하고 1. 인천공항에서 시계 받은 후에 공항
신라면세점에서 사진의 시계를 구입하고 1. 인천공항에서 시계 받은 후에 공항 내 면세 론진 매장에 가면 시계줄 조절이 가능할까요?2. 미국으로 출국하여 뉴욕 도착하자마자 착용하고 여행하려고 하는데 미국 입국시 관세를 내야할까요?(내야하면 금액이 어느정도 일까요?)3. 미국 여행중(약10일) 착용하였는데 한국에 귀국시 또 관세를 내야할까요?( 내야하면 금액이 어느정도 일까요?) cont image
다시 간단히 정리해 드릴게요. 2025년 기준으로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수정된 내용을 아래에 설명합니다. 정확한 금액은 세관 평가와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니, 세관 규정을 직접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1. 미국 입국 시 관세 (2025년 기준)
미국 세관(CBP)은 개인 면세 한도가 $800(약 1,070,000원)입니다. 이 한도를 초과하는 경우 관세가 부과됩니다.
시계는 부품(무브먼트, 케이스, 스트랩)별로 다른 관세율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5~10% 수준의 관세가 부과됩니다. 예를 들어, $1,588.76(약 2,288,000원)짜리 시계의 경우, $800 한도를 초과하므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대략적으로 시계 가치의 510%, 즉 $80$160(약 115,000~230,000원) 정도의 관세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추가로 상품 처리 수수료(MPF)나 기타 세금이 붙을 수 있습니다.
중요한 점: 중국이나 홍콩에서 출발한 물품은 2025년 2월부터 $800 한도 면세가 적용되지 않으므로, 관세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시계는 신라면세점(한국)에서 구매하므로 이 규정은 해당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한국 귀국 시 관세 (2025년 기준)
한국 세관의 개인 면세 한도는 $600(약 810,000원)입니다. $1,588.76(약 2,288,000원)짜리 시계는 이 한도를 초과하므로 관세가 부과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관세는 평균 8%이며, 부가가치세(10%)가 추가로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고급 시계의 경우 특별소비세나 기타 세금이 적용될 수 있지만, 개인 사용 목적이라면 면제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대략적으로 시계 가격의 1830%, 즉 $286$477(약 410,000~690,000원) 정도의 세금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10일 동안 사용한 개인 소지품으로 간주되면 세금이 감면 또는 조정될 수 있으니, 귀국 시 세관에 신고하고 영수증을 제시해야 합니다.
$150 미만의 물품은 관세 및 세금이 면제되지만, 이 시계는 그 한도를 훨씬 초과하므로 면제가 어렵습니다.
3. 정확성 확인
제가 제공한 금액은 추정치이며, 실제 관세는 시계의 가치, 원산지, 사용 여부, 세관 평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미국과 한국 세관 웹사이트나 전문가(세관 브로커)와 상담해 최신 규정과 정확한 금액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또한, 면세점에서 구매한 물품은 출국 시 신고하고, 귀국 시 사용 여부를 명확히 밝히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