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드웨이 기가 랜 젠더 c타입으로 유선랜 사용 중이고 노트북은 14ahp10, 공유기는 iptime ax1500sr 사용중입니다.리그 오브 레전드라는 게임을 할때는 핑이 6-7 정도 나오는데,오버워치2 라는 게임을 할때는 핑이 20-30정도 나옵니다.그래서 공유기 문제인가 싶었는데, 공유기 안 거치고 젠더에 유선랜 다이렉트 연결 시에도 핑이 20-30정도 나옵니다.근데 또 다운로드 속도는 공유기 거치면 30mb, 다이렉트 연결시 100mb 으로 더 잘 나옵니다.다운로드 속도가 더 좋으니 당연히 핑도 더 좋아질 줄 알았는데 핑은 같았습니다.데스크탑 사용 시에는 오버워치 핑이 10 미만이었으니까 젠더나 노트북이 문제일까요?근데 그렇다고 하기엔 리그 오브 레전드는 핑이 좋은데..왜 그런지 아시는 분 계신가요?
리그 오브 레전드(LoL) 서버는 서울(혹은 가까운 수도권) KT IDC 센터에 위치해 있습니다.
--> 따라서 한국 내 유저는 대부분 5~10ms 이하 핑을 받습니다.
오버워치2(Blizzard) 서버는 한국에 없습니다.
-->대부분의 한국 유저는 일본(도쿄) 또는 대만/싱가포르 리전 서버에 연결됩니다. 따라서 20~30ms 핑이 정상입니다.
즉, 지연의 원인은 네트워크 회선 품질이 아니라 서버 위치 차이입니다.
노트북, 젠더, 공유기와 관계없이 — 물리적으로 더 멀리 있는 서버로 접속하므로 핑이 높을 수밖에 없습니다.
오버워치 실행 후 명령어 창에서 서버 위치 확인
게임 실행 후 Ctrl + Shift + N (네트워크 통계창)
우측 상단에 서버 리전(예: JP1, SG1 등) 표시됩니다.
→ 일본(JP)이면 정상, 싱가포르(SG)면 약간 더 높은 핑이 나올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