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공부 싫어요 전 진짜 공부에 재능이 1도없고 그림,피아노,예체능에 재능이 있어서 예체능쪽으로 직업을

전 진짜 공부에 재능이 1도없고 그림,피아노,예체능에 재능이 있어서 예체능쪽으로 직업을 가질건데 공부를 아예 안하진 않을거긴 하지만 굳이 잘해야할 필요가 있을까요 글고 고등학교 굳이 다녀야 할까요
1. 예체능 분야에서 '공부'의 필요성
기본적인 지식과 소양: 예체능 분야에서도 성공하려면 창의력과 기술력 외에 폭넓은 지식과 소양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미술을 하려면 미술사나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음악을 하려면 음악 이론이나 역사를 알아야 깊이 있는 작업을 할 수 있죠. 단순히 기술만 가지고는 한계에 부딪힐 수 있습니다.
세상을 이해하는 눈: 공부는 세상을 이해하는 다양한 시각과 분석 능력을 길러줍니다. 이는 어떤 예술 분야에서든 자신만의 독창적인 작품을 만들거나 깊이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단순히 '예쁜 그림'이나 '좋은 소리'를 넘어선 예술적 가치를 창출하는 힘이 됩니다.
예체능 관련 직업의 다양성: 예체능 분야의 직업은 순수 창작 외에도 매우 다양해요. 기획자, 교육자, 행정가, 마케터 등 관련 분야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이 모든 것에는 기본적인 학업 능력이 바탕이 됩니다. 예를 들어 사무직의 경우 법, 회계, 세금 등에 대한 지식이 있다면 언제든 길이 열릴 수 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
대외 활동 및 대인 관계: 공부는 또 다른 종류의 대인 관계와 사회 활동의 장이기도 합니다. 이는 나중에 사회생활을 할 때 중요한 밑거름이 됩니다.
2. 고등학교 교육의 가치
고등학교 교육은 단순히 대학 진학을 위한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
교양과 덕목 형성: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사회인으로서 갖춰야 할 기본적인 교양과 덕목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 이는 예체능인이든 누구든 사회 구성원으로서 건강하게 살아가기 위한 기초가 됩니다.
사회성 및 협동심: 고등학교 생활은 다양한 친구들과 선생님들을 만나고, 여러 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기르고 협동심을 배우는 중요한 시기입니다. 이러한 경험은 예체능 활동 시 팀 프로젝트나 협업 과정에서 큰 도움이 됩니다.
또 다른 기회: 미래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지금은 예체능이 꿈이지만, 나중에 생각이 바뀔 수도 있고, 예체능 활동을 하면서도 다른 분야에 관심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고등학교 졸업장은 다양한 진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발판이 되어줄 수 있어요 .
최소한의 학력: 많은 직업군에서 요구하는 최소한의 학력이 고졸인 경우가 많습니다. 어떤 형태로든 최종학력이 고등학교 졸업 이상이면 추후 직업 선택의 폭이 더 넓어질 수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예체능에 재능이 있다는 것은 분명히 큰 장점이고, 그 길을 가는 것을 저는 응원해요. 하지만 '공부'나 '고등학교'는 단순한 점수나 학위 이상의 가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이는 혀나님이 예체능 분야에서 더 깊이 있고 넓은 시야를 가진 사람으로 성장하고, 어떤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힘을 길러줄 거예요.
지금 당장은 답답하게 느껴질 수도 있지만, 고등학교 과정을 충실히 이수하면서 예체능 실기 준비를 병행하는 것이 미래를 위한 가장 튼튼한 기반을 다지는 길이라고 생각합니다.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