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iving at the station late, my friend was still waiting for me patiently.Although I arrived at the station late, my friend was still waiting for me patiently.이 두 문장 사이 전환이 바르다고 하는데, 어떻게 그런 건가요?
두 문장 사이의 전환이 왜 문법적으로 자연스럽고 적절한지 설명드릴게요.
① Arriving at the station late, my friend was still waiting for me patiently.
② Although I arrived at the station late, my friend was still waiting for me patiently.
처음 보면 ①번 문장에서 **‘내가 도착했는데, 왜 주어가 my friend지?’**라는 의문이 드실 수 있는데요,
2. 분사구문 (Participial Phrase)의 이해
①번 문장은 **"Arriving at the station late"**라는 **분사구문(분사구)**으로 시작하는 문장입니다.
이 구조는 일반적으로 **"주절의 주어 = 분사구문 속의 주어"**일 때 자연스럽게 씁니다.
→ “Arriving at the station late”는 **‘나(I)’**에 해당하는 행동인데,
문법적으로는 틀린 문장입니다. (Dangling participle: 주어 불일치 분사구문 오류)
② Although I arrived at the station late, my friend was still waiting for me patiently.
주어 I와 my friend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서
4. 그렇다면 왜 “전환이 바르다”고 하나요?
Arriving at the station late, I saw that my friend was still waiting for me.
**그래서 ① → ②처럼 바꾸는 건 ‘문법 오류를 수정한 전환’**이라는 의미에서 "전환이 바르다"고 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의미는 같지만 ②가 문법적으로 바른 표현이며,
①은 회화에서는 가끔 쓰이지만, 문법 시험이나 글쓰기에서는 피해야 할 문장입니다.
채택을 해주시면 질문자에게는 내공의 50%가 돌아가며, 받은 내공 전액은 기부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