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25년도 기준으로 교직이수가능한 미대 알려주세요 산디과같은 디자인과로요
알려주세요 산디과같은 디자인과로요
2025년도 기준으로 디자인 계열(산업디자인과 등)에서 교직이수가 가능한 미대는 일부 존재하지만,
일반 미술교사(중등 정교사 2급 미술)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회화, 조소, 동양화 등 순수미술 계열 전공이 더 유리합니다.
디자인과에서 교직이수 가능한 경우
디자인과(산업디자인, 시각디자인, 패션디자인 등)에서도 교직과정이 설치된 학과라면
교직이수는 가능합니다.
단, 취득 가능한 교사 자격증은 ‘디자인 교사’ 또는 ‘의상 교사’ 등 특성화고 대상 자격증입니다.
✅ 예시: 디자인과 교직이수 가능 대학
대학명
전공명
교직이수 여부
자격증 종류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가능
디자인 교사 (특성화고)
국민대학교
산업디자인과
제한적 가능
디자인 교사 (기간제 등)
우송대학교
뷰티디자인경영학과
가능
미용 교사 (중등 2급)
서울과학기술대
시각디자인과
가능
디자인 교사
교직이수 주요 조건
교직과정 설치 학과여야 함 (교육부 승인)
2학년 말 성적 상위자 중심으로 선발 (보통 상위 10% 이내)
교직과목 22학점 이상 이수
교육실습, 응급처치, 성인지 교육 등 필수 요건 충족
현실적인 조언
디자인과에서 교직이수를 하더라도 일반 미술교사 임용은 어렵고,
특성화고나 방과후 교사, 기간제 교사로 활동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여기는 비정규직 이기때뭉네, 방과후 교사, 방과후 미술교사는 아주 페이가 적어요.
그리고 방과후 교사는 거의 미술과목을 가르치게 됩니다.
예시: 초등학과 방과후 교사(미술교사, 도자기 강사 등)
디자인은 실무이기 때문에
보통은 디자인과 졸업후 디자인회사 취업을 합니다.
그래서 미술교사(정교사)는 보통 순수쪽을 가셔서 교직이수를 합니다.
정교사 임용을 목표로 한다면, 회화과, 조소과, 동양화과 진학 후
교직이수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길이에요.
그 이유는 받는 (디자인과) 취득 가능한 교사 자격증은
‘디자인 교사’ 또는 ‘의상 교사’ 등 특성화고 대상 자격증
교사 자격증이 다릅니다.
응원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