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g
i
회원가입시 광고가 제거 됩니다
(컴활2급) INDEX, MATCH, MID 함수 [표2]에서 학생코드와 <학생코드표>를 참조하여 학과[J3:J12]를 표시하시오. ▶ 학생코드의 3~4번째 문자가
[표2]에서 학생코드와 를 참조하여 학과[J3:J12]를 표시하시오. ▶ 학생코드의 3~4번째 문자가 'CS'이면 '인문과학', 'PS'이면 '정책과학', 'SS'는 '사회과학'▶ 코드는 [H16:H18], 학과는[I16:I18] 영역을 참조▶ INDEX, MATCH, MID 함수 사용=INDEX($I$16:$I$18,MATCH(MID(G3,3,2),$H$16:$H$18,0),1)질문 1. 마지막에 인수 1을 빼도 상관없지 않나요?=INDEX($I$16:$I$18,MATCH(MID(G3,3,2),$H$16:$H$18,0))이렇게 입력해도 답은 같네요.질문 2. INDEX(범위, 행, 열) 함수 인수 순서가 이런데 =INDEX($I$16:$I$18,MATCH(MID(G3,3,2),$H$16:$H$18,0),1)MATCH 함수 뒤에 1열은 뭘 가르키나요? 학과인가요? 코드인가요? 
열 번호 인수입니다.
범위가 I16:I18 이네요.. 즉 열 번호가 한개이니 생략해도 상관없습니다..
찾을값(가져올 값)의 열 위치를 표시합니다.. 학과열이네요